1급 발암물질 젓갈
젓갈은 우리 몸에 암을 유발하는 1급 발암물질입니다.
그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우리가 먹는 모든 음식이 건강을 좌우한다는 것은 익히 알고 있는 내용입니다.
평소에 무심코 즐겨 먹는 음식이 암을 유발하는 물질이 되었습니다.
젓갈은 국제암연구소에서 술, 담배, 벤조피렌, 청산가리, 포롬알데히드와 같은 1급 발암물질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젓갈에는 다량의 소금이 들어갑니다.
소금 자체만으로는 발암물질이 아니지만 각종 식재료가 소금에 절여지면서 숙성되는 과정에서 <아질산염>
이라는 독소가 만들어집니다.
아질산염은 생선이나 젓갈 속에 들어있는 <아민>이라는 성분과 결합해서 <니트로소아민>이라는
1급 발암물질을 만들어 냅니다.
또 젓갈을 맛깔스럽게 보이게 하기 위해서 붉은색을 내는 발색제 아질산나트륨을 첨가하게 됩니다.
아질산나트륨은 단백질과 만나면 <니트로소아민>이 생성됩니다.
니트로소아민 때문에 암발병률이 높아지는 것입니다.
젓갈의 성분표를 잘 살펴보면 발색을 내기 위해서 아질산나트륨이 첨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 밖에도 다양한 식품첨가물이 들어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에 전문가들은 첨가물이 많이 들어간 젓갈을 건강을 위협하며 숙성되면서 만들어지는 유산균조차 없을 수도 있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젓갈을 구입할 때는 식품첨가물이 가급적이면 적게 들어간 것을 선택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하지만 건강을 생각한다면 염장음식을 섭취하지 않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염분은 염장음식 이외에 다른 음식으로 섭취해도 충분합니다.
인체발암 추정물질
튀긴 음식 중에서 감자나 밀가루처럼 전분이 많은 음식을 고온에서 조리할 경우 <아크릴아마이드>라는 물질이 생성
됩니다.
아크릴아마이드는 암의 발병률을 높이게 됩니다.
아크릴아마이드는 <인체발암 추정물질>로 탄수화물이 많이 함유된 음식을 120도 이상 고온에서 장시간 조리할 경우 음식 안에 <아스파라긴>이라는 성분과 <포도당>이 화학적 반응을 일으켜서 생성되는 물질입니다.
아크릴아마이드가 우리 몸에 흡수될 경우 중추신경계 또는 심혈관계에 심각한 영향을 주게 됩니다.
특히 신장암의 발병률을 높인다는 연구결과도 있습니다.
튀긴 음식뿐만 아니라 고온에서 볶거나 오븐에 굽는 등의 요리도 섭취에 주의해야 합니다.
가끔 섭취하는 것은 문제가 되지 않지만 장기적으로 섭취하거나 다량으로 섭취량이 많아질 경우에 우리 몸의 염증수치가
올라가고 암의 발병률이 높아지게 됩니다.
암을 유발하는 음식이나 조리법은 피하고 담백한 식습관을 갖도로 노력해야 하겠습니다.
직화구이가 1급 발암물질을 만든다
고기를 직화로 구워 먹는 것도 암을 발생시킵니다.
미국의사협회에서 소고기나 돼지고기, 닭가슴살을 고온에서 오래 구우면 < 헤테로사이클릭아민>이라는 발암물질이 생길 수 있다고 합니다.
헤테로사이클릭아민은 적은 양을 섭취해도 암을 유발할 수 있다고 합니다.
유럽에서 발표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육류를 바싹 구워 먹으면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서 전립선암 발생이 69% 증가했다고 합니다.
국립암연구소에서 발표한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고기를 바싹 구워 먹는 여성은 그렇지 않은 여성보다 유방암 발병률이 4.6배 높다고 합니다.
그리고, 고온에서 오래 굽는 고기에는 헤테로사이클릭아민과 1급 발암물질 벤조피렌이 생긴다고 합니다.
고기를 구워 먹을 때 너무 바싹 익혀서 먹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겠습니다.
전문가들은 단백질이나 탄수화물을 석쇠를 이용해서 불에 직접 구워서 섭취할 때 유해 독성물질이 발생하기 때문에 직화조리는 피하고
프라이팬 같은 조리도구를 이용해서 낮은 온도로 조리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입에 달면 독이 되고 입에 쓰면 약이 된다는 말이 있습니다.
달면 뱉고 쓰면 삼켜서 우리 몸을 건강하게 지켜야 하겠습니다.
암과 관련된 다른 글도 함께 읽어 보시고 도움이 되시길 바라겠습니다.
2023.02.05 - [다양한 정보 소식] - 암을 발생시키는 물질들
'다양한 정보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암을 발생 시키는 물질들 (1) | 2023.02.05 |
---|---|
비판텐 연고 (0) | 2023.01.26 |
신장이 망가지는 이유 (0) | 2023.01.24 |
당뇨에 좋은 식품 (1) | 2023.01.16 |
2023년 근로장려금 (0) | 2023.01.13 |
댓글